주택가격심리지수(매수우위/매매거래 지수) 100기준
KB부동산에서 주간 단위로 조사해 발표하는 지수로, 100을 기준으로 100을 넘을 경우 매수자가 많고 매매거래가 활발함을 나타냅니다.
현재는 매수우위가 100이 넘기 때문에 매수자가 많은 상황입니다. 공급자에게 유리하겠죠? 때문에 아파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이에 맞춰서 매매거래지수가 뒤따라 상승하는 형국입니다.
주택전세가격심리지수(전세수급/전세거래 지수) 100 기준
마찬가지로 KB부동산에서 주간 단위로 발표하며, 100을 기준으로 100을 넘을 경우 전세공급 부족, 전세거래가 활발함을 나타냅니다.
현재 전세수급은 150, 200에 육박하면서 전세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고, 전세거래지수는 20~30 사이에 머물면서 전세거래는 실종된 상황입니다. 전세가격 상승을 여실히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100 기준
특정일의 가격을 100으로 하고 이번주 얼마나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라갔는지 알려줍니다. 또한 지수의 증감율을 보여줘서 얼마나 가파르게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서울의 아파트 가격도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대책이 집중되었던 6월, 7월 이후 가격지수가 급격하게 상승함을 알 수 있습니다. 12월에도 전달대비 1.32%나 증가하였고 가격지수는 2019년 1월 대비 16.4%상승한 116.4입니다.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100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동향과 동일합니다. 전세가격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특정일을 100으로 기준해서 나타내 줍니다.
아래는 월간 아파트전세가격동향을 나타내는데요. 2020년 6월 이후 전세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전세가격지수는 2019년 1월을 100으로 기준했을 때, 12.4%만큼 증가하여 112.4의 지수를 나타내고 있고 월간 지수 상승률도 2%에 육박합니다. 이 그래프 한장으로 6.17 대책과 임대차 3법이후 전세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함을 알 수 있네요!
매매가대비 전세가율(%)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높다면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얼마 없다는 뜻입니다. 2016 ~ 2017년 당시 갭투기가 성행했는데 그 배경에는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적은 돈으로 전세를 낀 물건을 사들일 수 있는 시장이 형성되었던 것이죠.
오늘은 부동산시장을 읽기 위한 기초적인 5가지 키워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경매의 기본 (0) | 2022.11.04 |
---|---|
[재초환 :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어떻게 적용되나? (0) | 2020.07.02 |
경기도 행복주택 거주자 분들! 대출이자 지원받으세요 (카카오뱅크 대출 기준) (0) | 2020.05.05 |